전선로 Flashcards
연가의 효과
① 선로정수 평형
②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 경감
③ 소호리액터 접지시 직렬공진에 의한 이상전압 상승 방지
④ 각 상의 전압강하를 동일하게 한다.
코로나에 의한 장해
① 코로나 손실
② 통신선 유도장해
③ 코로나 잡음
④ 전선부식
코로나 방지대책
① 복도체 사용
② 굵은전선의 사용
③ 가선금구류 개선
전선이 정삼각형의 정점에 배치된 3상 선로에서 전선의 굵기, 선간거리, 표고, 기온에 의하여 코로나 임계전압이 받는 영향을 쓰시오.
구 분 임계전압이 받는 영향
전선의 굵기 전선의 굵기가 커지면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선간거리 전선의 등가선간거리가 커지면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진다.
표고 [m] 표고가 높아지면 기압이 낮아지므로 코로나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기온 [℃] 기온이 상승하면 상대공기밀도가 낮아지므로 코로나 임계전압이 낮아진다.
복도체 방식의 장단점
[장점] ① 송전용량 증대 ② 코로나 손실 감소 ③ 안정도 증대 ④ 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및 정전용량 증가
[단점]
① 건설비 증가
②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
③ 단락시 대전류 등이 흐를 때 소도체 사이에 흡입력 발생
④ 페란티현상에 의한 수전단전압 상승
승압효과의 장단점(3kV->6kV)
장점
① 전력손실이 75% 경감된다.
② 전압강하율 및 전압변동률이 75% 경감된다.
③ 공급 전력이 4배 증대된다.
단점
① 변압기, 차단기 등의 절연레벨이 높아지므로 기기가 비싸진다.
② 전선로, 애자 등의 절연레벨이 높아지므로 건설비가 비싸진다.
배전선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① 자동전압 조정기
② 고정 승압기
③ 직렬 콘덴서
④ 병렬 콘덴서
직렬 콘덴서를 사용하는 목적에 대하여 쓰시오.
직렬콘덴서는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를 보상함으로써 선로의 전압강하를 감소하고 계통의 안정도를 증대 시킨다.
TV나 형광등과 같은 전기제품에서의 깜빡거림 현상을 플리커 현상이라 하는데 이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원측과 수용가 측에서의 대책을 각각 3가지씩 쓰시오.
[전원측]
①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② 공급 전압을 승압한다.
③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수용가측]
① 직렬 콘덴서 설치
② 부스터 설치
③ 직렬 리액터 설치
전력계통의 발전기, 변압기 등의 증설이나 송전선의 신∙증설로 인하여 단락, 지락 전류가 증가하여 송변전 기기에의 손상이 증대되고, 부근에 있는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예상되므로, 단락 용량의 경감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① 고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한다.
②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한다.
③ 한류 리액터를 설치한다.
2중모선의 장점
모선 점검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정전 상태로 할 수 있어 전원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무한대 모선이란?
내부 임피던스가 영이고 전압은 그 크기와 위상이 부하의 증감에 관계없이 전혀 변화하지 않고, 또 극히 큰 관성정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 용량 무한대의 전원
Spot Network 방식이란?
배전용 변전소로부터 2회선 이상의 배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으로 배전선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일지라도 다른 건전한 회선으로부터 수전 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은 방식이다.
스폿네트워크방식의 장점
① 무정전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② 공급신뢰도가 높다.
③ 전압 변동률이 낮다.
④ 부하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전류차동계전방식
각 모선에 설치된 CT의 2차측 회로를 차동접속하고 거기에 과전류계전기를 설치한 것으로서, 모선내 고장 에서는 모선에 유입하는 전류의 총계와 유출하는 전류의 총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이용해서 고장검출을 하는 방식
전압차동계전방식
각 모선에 설치된 CT의 2차회로를 차동 접속하고 거기에 임피던스가 큰 전압계전기를 설치한 것으로서, 모선내 고장에서는 계전기에 큰 전압이 인가되어서 동작하는 방식
위상비교계전방식
모선에 접속된 각 회선의 전류위상을 비교함으로써 모선 내 고장인지 외부 고장인지를 판별하는 방식
방향비교계전방식
모선에 접속된 각 회선에 전력방향계전기 또는 거리방향 계전기를 설치하여 모선으로부터 유출하는 고장 전류가 없는데 어느 회선으로부터 모선 방향으로 고장 전류의 유입이 있는지 파악하여 모선 내 고장인지 외부 고장인지를 판별하는 방식
변전소의 주요기능 4가지를 쓰시오.
① 전압의 변성과 조정
② 전력의 집중과 분배
③ 전력 조류의 제어
④ 송배전선로 및 변전소의 보호
보호계전기의 기억작용이란?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Mho형 거리계전기에 사용한다.
송배전 선로의 중성점 접지 목적을 4가지만 쓰시오.
① 1선 지락 고장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 상승 억제
② 기기의 절연 레벨 경감
③ 지락 사고선의 선택 차단
④ 아크 접지의 발생 및 이에 따르는 이상전압 발생의 방지
유효접지란?
① 설명 : 1선지락 사고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상규 대지전압의 1.3배를 넘지 않도록 접지 임피던스를 조절 해서 접지하는 것
② 접지방식 : 직접접지방식
비접지 3상3선식 배전방식과 비교 3상 4선식의 장단점
장점
①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압은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② 개폐서지의 값을 저감 시킬 수 있으므로 피뢰기의 책무를 경감 시키고 그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③ 변압기의 단절연이 가능하고, 변압기 및 부속설비의 중량과 가격을 저하 시킬 수 있다.
④ 1선 지락사고시 보호 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
단점
① 지락사고시 병행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크게 미친다.
② 지락전류는 저역률의 대전류이기 때문에 과도 안정도가 나빠진다.
③ 지락전류가 매우 커 기기에 대한 기계적 충격이 커서 손상을 주기 쉽다.
④ 계통사고의 70~80%는 1선 지락사고이므로 차단기가 대전류를 차단할 기회가 많아진다.
송전선로로서 지중 전선로를 채택하는 이유
① 도시 미관을 중요시하는 경우
② 수용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③ 뇌,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④ 보안상의 제한 조건 등으로 가공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