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시험준비 Flashcards

1
Q

PTE treatment

A

보존적 치료

항응고치료

  • IV heparin (aPTT 50-80초) / Enoxaparine 1mg/kg bid
  • warfarin 3-5일 병용투여 INR 2-3 -> 3개월

혈전용해술

IVF filter

예방

  • 물리요법: 조기보행, 압박스타킹
  • 약물요법: UH 5,000 UI sc bid or tid

LMWH 40mg SC qd

Factor Xa inhibitor : Rivaroxaban(Xarelto) 10mg PO q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External intestinal fistula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A

불량

누공길이<2cm, high output (>500ml/d)

여러개, 다른 부위에 내장루, 누공의 상피화

장의 말단부, 누공장기: 십이지장 측벽, 위, 회장

주변농양, 장병변, 원위부 장폐쇄

큰 장벽손상>1cm, 열린 창상 밑 누공 개구

암이나 장변변이 침범

이물질(mesh), 영양실조, 패혈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acut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ACS)

A

복압 20mmHg 이상 + 다른 장기의 기능부전 유발

** 정상복압 5mmHg

** IAH 12mmH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CTP score

A

TB 2-3

Albumin 2.8-3.5

INR 1.7-2.2

Ascites

HEP

** class A/B/C = 5-6/7-9/10-15 (10%/30%/80%)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Thyroid storm

A

BB

PTU

KI

Dexamethason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Bridging therapy

A

수술전

INR 2-3 -> 수술 5일 전 warfarin 중단

INR 3-4.5 -> 수술 6일 전 중단

마지막 warfarin 복용 36시간 후 LMWH 개시

  • Enoxaparin 1mg/kg sc bid

수술 24시간 전에 마지막 투여

수술후

수술 24시간 후 LMWH 재투여

POD#1부터 warfarin 재투여 (출혈 위험성 고려)

INR 2-3으로 2일 유지시 LMWH 중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지혈 영향 미치는 약물 중단기간

Aspirin

Clopidogrel

NSAIDs

Estrogen/Tamoxifen/Raloxifen(SERM)

MAO inhibitor

A

Aspirin 7-10일

Clopidogrel 7-10일

NSAIDs 1-3일

Estrogen/Tamoxifen/Raloxifen(SERM) 4주

MAO inhibitor 2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E. Varix 치료

A

응급내시경 : 정맥류 결찰술

약물치료 : Octreotide, vasopressin(terlipressin)

항생제 투약

SB tube (Balloon tamponade)

TIP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Upper GI bleeding EGD 후 진단 못한 경우

A

slow hemorrhage, v/s stable -> RBC scan

massive -> angio or OP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Lower GI bleeding 진단

A

slow -> CFS

massive

  • v/s stable -> RBC scan -> angiography
  • v/s unstable -> Angio or OP

그래도 못찾으면 enteroscopy, capsule, SBS 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Opioid intoxication시 처치

A

naloxone 0.4-2mg IM or IV (2-3분간격. 10mg까지)

BDZ 같이 먹었으면 flumazenil도 함께 투약

** flumazenil : selective GABA antagonis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liver resection 범위 결정

A

ascites 조절 안되면 절제 불가

ascites 조절 되거나 없다면 bilirubin 확인

  • 2 이상 : 절제 지양
  • 1.1 - 1.9 : limited resection

TBili 정상이면 ICG 확인

  • 30 이상 : limited resection
  • 20-29 : subsegmentectomy
  • 10-19 : LL, RAS, RPS
  • 정상 : R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HCC 진단 어떻게

A

CHB, CHC, LC 환자에서

AFP>200 + CT/MRI 중 하나에서 HCC 소견

AFP<50 + CT/MRI/ANGIO 중 두개 이상에서 HCC 소견

LC 환자는 2cm 이상의 경우 CT/MRI 중 하나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HCC T staging

A

solitary

2cm 이하

vascular, bile duct inv(-)

T1 3/3

T2 2/3

T3 1/3

T4 0/3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HCC 치료

A

single, PH(-), TB정상 -> resection

  • 2cm 이하고 수술 원하지 않으면 ablation

single, PH(+), TB정상 -> resection -> LT/RFA

single, PH(+), TB비정상 -> LT/RFA

3 tumors <3cm, CTP A-B -> LT/RFA

large, mulinodular, CTP A-B -> TAE / TACE

PVI+, EH spread, CTP A-B, PS1-2 -> CTx(sorafenib)

CTP C, PS3-4 -> BSC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IHCCC 종류와 특징

A

종괴형성형

혈관전이, 간내전이가 많고 주변으로 전이 늦음. 간세포와 비슷

담관침윤형

림프절 전이 흔함. 악성도 높음. stone 동반

담관내 성장형

가장 빈도가 낮음. 원격전이 적고 예후 좋음. 원위부 담관 확장증 동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IHCCC staging

A

T1a 5cm 이하

T1b 5cm 초과

T2 multiple tumor / solitary tumor가 intrahepatic VI(+)

T3 tumor가 visceral peritoneum을 뚫고 나옴

T4 liver 주변 조직 direct invasi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IHCCC prognosis

A

절제 안하면 6개월 이내

절제하면 5년 생존률 21-35%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HCA 치료 적응증

A

남자, b-catenin+ -> OP

여자 생활습관 개선. 피임약 D/C

  • > 6개월 후 크기 변화 없음 / 5cm 이상 -> OP
  • > 5cm 미만이면 annual f/u

임신계획 / 호르몬 중단 불가 -> OP

v/s unstable -> embo -> 추후 OP 고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GB polyp 수술 적응증

A

증상+ 1cm 이상 / 크기 증가

1cm 이하여도

50세 이상에서 진단 / 담석동반 / 용종개수 하나

용종의 모양이 무경성 -> 악성 가능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간내결석

간절제술 적응증

경피경간 결석 제거 적응증

A

절제술 적응증
한쪽 엽에 국한
결석을 포함하고 있는 담도의 심한 확장과 협착
간농양/간위축/간내담도암 의심

경피경간 결석 제거 적응증
수술 위험도 높음
결석이 양측 간에 있을 때
일부 우간 결석
재발성 간내 결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Chronic pancreatitis

수술 적응증

수술 방법

A

내과적 치료에 반응x

췌장암 의심 합병증 동반 (가성낭종/십이지장협착/가성동맥류)

췌관배액술 - main duct가 7-8mm 이상인 경우

췌관배액술 및 췌절제술 병합

췌절제술 (DPRHP, STP, TP)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Pseudocyst

치료 적응증

A

4-6주간 경과관찰 -> 크기 증가. 합병증 동반되면 치료

내과적 : 금식/비위관/octreotide/E-drain/PCD

외과적

  • 외배액술: 벽이 미성숙, 감염, 전신상태 불량한 경우
  • 내배액술: 가성낭종과 가까운 장관과 문합
  • 절제술: 췌관의 협착 동반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SCN/MCN/SPN

radiologic findings

A

SCN: Honey comb appearance/central scar/sunburst appearance

MCN: solitary cyst/fine septations/rim calcification/mural nodule

SPN: well-encapsulated lesion/varying solid and cystic components/hemorrhagic degenerati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IPMN high stigmata
Obstructive jaundice enhancing mural nodule 5mm 이상 main pancreatic duct 10mm 이상 positive cytology
26
IPMN worrisome features
cyst 3cm 이상 / 크기 변화가 2년에 5mm / wall thickening, enhancing enhancing mural nodule 5mm 미만 main duct 5-9mm distal pancreatic atrophy 있으면서 duct가 abrupt하게 변화 lymphadenopathy CA 19-9 상승 new-onset DM / acute pancreatitis =\> 상기 소견이 있으면 EUS \> mural nodule 5mm 이상/main duct involvement/cytology+ 중 하나 나오면 수술
27
AoV adenoma OP indications
1. IDE \> 5mm 2. HGD 3. Large (≥2cm) 4. CIS 5. Failed EP
28
Periampullary cancer incidence prognosis
Incidence : pancreas \> CBD = AoV \> duodenal Prognosis : AoV \> CBD \> duodenum \> pancreas
29
Pancreas cancer Resectability
Resectable - V: 180 이하로 contact 하나 vein contour irregularity(-) Borderline - V: SMV or PV contact(+) 180도 이상 / 180도 이하로 contact 하면서 vein contuor irregularity, vein thrombosis 그러나 proximal, distal은 괜찮음 - A: SMA tumor(+) 180도 이하 / CHA에는 닿아 있지만 CA, hepatic artery bifurcation 괜찮음 - A(distal): CA contact 180도 이하 / CA 180도 이상이지만 aorta와 GDA 괜찮음 -\> appleby OP unresectable - V: jejunal br 침범 - A: SMA 180도 초과 / CA 180도 초과 - A(distal): SMA or CA 180도 초과
30
GB treatment plan
T1a lamina propria / T1b muscularis -\> chole T2 perimuscular connective tissue / T3 / T4 -\> extended cholecystectomy ± adjacent organ resection
31
Achalasia 확진검사 및 소견
식도내압검사 LES 이상소견 (35mmHg 이상) 이완 안됨
32
Gastric cancer WHO 분류
Diff - papillary / TAC WD / TAC MD Undiff - TAC PD / PCC / MAC
33
Gastric cancer ESD 시도하는 경우
Diff ≤ 2cm, ulcer(-) strongly recommended Diff \> 2cm, ulcer(-) weakly recommended Diff ≤ 3cm, ulcer(+) Undiff ≤ 2cm, ulcer(-)
34
Gastric cancer ESD 후 경과관찰 가능한 경우
Lvi(-), vertical margin(-)면서 아래 경우 Diff \> 2cm, ulcer(-) Diff \< 3cm, ulcer(+) Undiff \<2cm, ulcer(-) Diff \< 3cm, SM1 inv(\<500um)
35
DG D1+ / D2
1,3,4sd,4d,5,6,7,8a,9 1,3,4sd,4d,5,6,7,8a,9,11d,12a
36
TG D1+ / D2
1,2,3,4sa,4sd,4d,5,6,7,8a,9,11d 1,2,3,4sa,4sd,4d,5,6,7,8a,9,11d,11p,12a
37
splenectomy 시행 전 후 vaccination
2주 전 Hib, mingococcus, pneumonicoccus coccus들은 5년 후 1회 추가 투여
38
gastric cancer CTx regimen
Capecitabine (Xeloda) + oxaliplatin 3주 간격 (2/1) TS-1 단독투여 6주 간격 (4/2)
39
GIST 수술 적응증
2cm 이상 크기 증가시 출혈이나 폐색 등 증상 발현시
40
DU 치료
난치성 : HSV / TV + PP or GJ Bleeding : TV + PP + H.pylori + Bleeding vessel suture Perfoation : \< 1cm : TV + PP or HSV / omental patching / 수술 후 H.pylori 제균 꼭! \> 3cm : + pyloric exclusion + GJ Obstruction : TV + anterectomy + GJ
41
GU 치료 난치성 출혈
난치성 I : WR / DG II or III : DG + TV IV : STG Bleeding v/s stable : DG v/s unstable : ulcer excision + TV + PP
42
GU 치료 천공 폐색
Perforation I : DG II : Omental patching + Bx Ulcer Hx/Prev. H.pylori Tx -\> HSV 추가 / 아니면 TV + PP Recent onset -\> H.pylori Test & Tx III : TV + anterectomy IV : GEJ 2cm 이하 : Kelling-Madlener (ulcer 놔두고 TV + anterectomy) / Csendes procedure (ulcer 포함한 near-TG + GJ) GEJ 2cm 이상 : Pauchet’s procedure (Ulcer 있는 LC를 높게 자르는 DG) Obstruction Acute : 수액보충, PPI, L-tube drain -\> 48-72시간 내에 풀리지 않으면 OP Chronic : 풍선 확장술 시도 (재발률, 천공 위험 높음) OP : TV + anterectomy (duodenum 염증, 반흔 있으면 GJ 시행) SV + anterectomy / HSV + GJ
43
Vagus nerve injury 증상
Lt(Ant) : hepatic br (손상시 GB stone, PS 기능 떨어짐) / Ant N of Latarjet Rt(Post) : celiac plexus br / Criminal N of Grassi (첫번째 분지. 절제하지 않으면 재발) / Post N of Latarjet
44
gastric lymphoma 치료
MALT lymphoma H.pylori 제균요법으로 완치 t(11;18), Bcl-10 nuclear expression -\> 낮은 치료 반응도 H.pylori(-) -\> whole stomach low dose radiation CHOP + RTx
45
GI NET
appe(38%) \> terminal ileum 60cm(29%) \> colon (13%) 35%에서 원발전이 복통, 설사, 체중감소 * *악성 카르시노이드 증후군** - serotonin 분비 -\> 혈관운동성(홍조,천식), 심장, 위장관 증상(설사,간비대) - \> octreotide로 치료 **수술적 치료** 1cm 이하는 장분절절제술 1cm 이상 & 다발성 or 림프절 전이 : 장 및 장간막의 광범위절제술 (RHC)
46
SBS 경구 섭취 주의사항
설사조절 가능한 일찍 경구 섭취 등장성, 소량 고탄수화물/고단백질 식이로 시작 -\> 점차 고장성, 양, 칼로리 증가 유제품 피할 것 / 지방은 줄이고 MCT로 하루 100g 이상 공급 위장관 호르몬 요법
47
Colon polyp 유경성용종 (pedunculated) 무경성용종 (sessile)
유경성 : (0)-(3)까지는 국소절제 후 경과관찰 (0) carcinoma in situ or intramucosal (MM 침범 x) (1) SM+, head 국한 (2) SM+, neck (3) stalk 침범 -\> SM1 (4) stalk밑, MP보다는 위 무경성과 유경성(4)는 림프절 전이 가능성 높아 적극적 치료 필요
48
EMR 후 수술해야하는 경우
Depth MM 1000µm 이상 Lvi(+), Pni(+), tumor budding(+) 조직학적 Type – PD, SRC, MUC Resection margin (+) EPMR (Endoscopic piecemeal resection)
49
CRC staging
N(+)면 무조건 stage III 이상 N(-)면서 T3 이상이면 stage II
50
TAE 적응증
유동성암 AV6 (AV8) T1 / 4cm (3cm) 직장둘레 40% (30%) 고분화/중등도분화 혈관/림프관침습(-) RM 3mm 이상
51
CRC stage IIA에서 항암하는 경우
LN 12개 미만 pT4 / 저분화도 LVi(+) / PNi(+) RM 침범 혹은 근접 장폐색 장천공
52
CRC 표적 치료제 종류
Bevacizumab : 간전이 표적치료제 Cetuximab : K-ras mutation 없는 wild-type에서 사용
53
FAP 임상양상 및 치료
AD, APC mutation Attenuated FAP : MUTYH Extracolic : 표피양 낭종, 치아 이상, 망막색소상피비대 (CHRPE), 골종양, 간모세포종, 담관암, PTC, 부신선종, 중추신경계 수질모세포종, 유건종(Desmoid tumor), 소장선종 CRC risk 100% 25세 전에 반드시 수술 – TPC/IPAA Surveillance : 10대 초반 SFS / 10대 후반부터 매년 CFS / 20-25세 1-3년마다 EGD (30세부터 2년마다)
54
HNPCC 임상양상 및 치료
Lynch syndrome (HNPCC) AD, MSI – MLH1, MSH2, PMS2, MSH6 Tx : TC c IRA +Prophylactic TAH BSO, Rectal ca – standard oncologic principle (2C, ASCRS) Surveillance : 21-40세 2년마다, 40세 이후 매년 CFS / 20-25세부터 매년 Transvaginal US Sporadic ca 보다 예후 좋음.
55
HNPCC 진단 Modified Amsterdam
3명 이상 HNPCC 연관암 해당 1명은 다른 2명에 대해 1대 관계 (부모,자식,형제) 2대 이상 연속 최소 1명은 50세 이전에 진단 FAP 이 아님
56
Rectal NET 치료
≤ 1cm : 내시경절제술, 안되면 TAE 1-2cm : LN 전이, 내시경 완전절제 안 된 경우, 나쁜 조직학적 특징 (\>5mitoses/50HPF) → 근치적 절제술 ≥ 2cm : 근치적 절제술
57
Breast cancer BCO 후 RTx 생략하는 경우
70세 이상 HR(+) + T1
58
Breast cancer TM 후 RTx 하는 경우
T3(5.1cm~) N2(4~) -\> 1-3개에서도 고려 피부나 근육 침범
59
Breast cancer HT 하는 경우
ER+ and/or PR+인 경우 (DCIS도 보존수술한 경우에는) DCIS 전절제 후 Tamoxifen은 쓰기도 하고(반대측 유방암 예방 목적) 안쓰기도 함
60
Breast cancer CTx 하는 경우
수용체 음성인 경우 0.5cm 초과인 경우 고려 수용체 양성(HER2음성)인 경우 N-면 OncotypeDx나 Mammaprint 결과 보고 수용체 양성(HER2음성)인 경우 N+면 N1(1-3개)인 경우는 Mammaprint 결과 보고 수용체 양성 + HER2 양성 -\> 항암제와 표적치료제 \*\* mucinous와 tubular ca는 N-면 크기 관계 없이 CTx 생략 \*\* DCIS는 무조건 안함
61
Breast cancer 표적치료 하는 경우
HER2 양성인 경우 1.1cm부터 보험 \*\* DCIS는 무조건 안함
62
Breast cancer 표적치료제 종류
Trastuzumab : sub-domain IV 억제 Pertuzumab : sub-domain II dimerization 억제 Lapatinib : EGFR, Her1 억제 -\> 2차 치료제
63
Atypical hyperplasia
ADH ALD
64
excisional biopy 필요한 병변
ADH ALD LCIS FEA IDP complex FA / FA 2-3cm
65
BCO 절대적 금기
임신 미세석회화가 넓게 퍼져있는 유방 광범위한 병변 넓은 부위에서 절제연 양성
66
BCO 상대적 금기
RTx Hx (p53 mutation) 피부를 침범한 결체조직 질환 (scleroderma, SLE) \>5cm 절제연 양성 BRCA 1/2 35세 이전
67
SNB 적응증
T1 / T2 DCIS c mastectomy old age, obese, male pts
68
SNB 금기
T3 / T4 inflammatory cancer 이전 겨드랑이 수술력 neoCTx cN+
69
BCO 후 RTx 생략하는 경우
T1/T2 cN- 3개 중에서 2개 N+
70
Breast ca T stage N stage
2cm 2초과 5이하 5초과 흉벽이나 피부 침윤/염증성 유방암 림프절 전이 없음 유동성 있는 겨드랑이 림프절 고정되어 있거나 엉켜있는 림프절 / 동측내유방림프절 쇄골상 또는 쇄골하 림프절 N1 1-3 N2 4-9 N3 10
71
Thyroid ca CCND 하는 경우
예방적: clinical N1a 치료적: T3/T4, clinical N1b
72
Thyroid ca staging
2cm 이하 (T1) 갑상선 국한 - 1기 2cm 초과 4cm 이하 (T2) - 2기 4cm 초과, Lv6 N+. 갑상선외 침윤 - 3기 그 이상은 4기
73
PTC 관련 유전자
BRAF - 예후예측 RET/PTC - 소아갑상선유두암 관련 TRK
74
FTC 관련 유전자
RAS PAX8/PPARr
75
PTC에서 전절제 하는 경우
4cm이상 / 양쪽 암 원격전이 / 육안 피막 침범 심할때 조직형 안좋은 경우 (키큰세포, 미만성 석회화, 저분화, 혈관침범 여포암) 측경부 림프절전이 / 중앙림프절 2mm이상 5개 이상 두경부 방사선조사력 반대편 미결정형 결절 / 수질암
76
Cushing's syndrome 진단
24-hr urine free cortisol - 100uq 이상 late evening salivary cortisol \>550ng/dL ACTH 감소 -\> ACTH 비의존성 : primary adrenal cushing ACTH 증가 -\> ACTH 의존성 -\> high dose dexa - ACTH 억제되면 ACTH-secreting pituitary adenoma - 억제 안되면 Ectopic ACTH-producing tumor
77
Pheo 진단
plasma free metanephrine 24-hr urine metanephrine & catecholamine CT/MRI -\> MIBG -\> OP
78
AI 진단
8am serum cortisol \< 15ug/dl or salivary cortisol \<5.8ng/ml 250ug ACTH stimulation test - \> cortisol \<18ug/dl - \> 8am serum ACTH - \> 올라있으면 primary AI / 나머지는 secondary AI
79
Endoleak type 및 치료
1형: stent graft의 근위부(Ia), 원위부(Ib)의 혈관벽 접합부에서 발생 -\> Urgent repair! 시술시 발견하면 풍선확장술 or stent삽입 -\> 개복술 전환 2형 : 10-25%(m/c). 분지동맥(요추동맥, 하장간막동맥 등) 역류에 의해 발생 -\> 추적관찰. 1개월 기다려보고 막히지 않으면 추가 시술 고려. 3형 : stent graft 벽의 손상 or 연결부위 defect -\> new stent graft 삽입, 개복술 전환 4형 : stent graft 벽의 미세구멍에 의해 발생 -\> 추적관찰
80
CEAP classification
C2 하지정맥류 C3 부종 C4a 피부착색 또는 습진 C4b 피부경화 또는 위축 C5 치유된 정맥성 궤양 C6 활동성 정맥성 궤양
81
CAS 치료 적응증
50% 이상 직경감소 Sx+ 80% 이상 직경감소 Sx- 경동맥 내피 경화판 표면의 궤양 움직이는 혈전
82
Diverticulitis Hinchey classification
Hinchey classification 1기 : 결장 주변 농양 동반 2기 : 후복막, 골반 농양 3기 : 화농성 복막염 4기 : 분변성 복막염 Tx : Antibiotics, 필요 시 PCD 회복 시 4-6주 뒤 꼭 CFS 해서 악성 감별해야함
83
Breast cancer 상대위험도 4.0 이상
84
LT 거부반응 치료
85
AMR 치료
86
ATA FNA guideline
87
Adrenal incidentaloma 진료 가이드라인
88
VAAs treatment criteria
rapid growth diameter \>2cm pain embolic or ischemic complications all pseudoaneurysm
89
SAA 치료해야 하는 경우
Rupture Pain LT candidate Portal hypertension Pregnancy Size \> 2cm Pseudoaneurysm
90
SMAA 치료
Repair 무조건 고려 Aneurysmectomy and arterial reconstruction - bypass graft는 지양 (infection, inflammatory 관련시) EVAR
91
Gastric & GEA Aneurysm 치료
잘 터지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치료
92
VAA 중에서 size 관계 없이 치료해야 하는 것은
All PSA true GAA, GDA or GEAA ruptured VAAs
93
cLN- 환자에서 LN+ 확인됨 ALND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T1, T2 전이 림프절 개수가 2개 이하 BCO RTx 하는 경우 neoCTx 하지 않은 경우
94
GnRH angonist
가장 많이 사용 CTx 1주일 전에 사용. ovarian function 떨어뜨려 CTx toxicity를 줄임 -\> menopause 예방 menopause를 예방할 뿐만이 아니라 치료 후 임신 성공 유의미하게 높음 menopause가 안되면 oncologic safety 문제는? 두 군에 차이는 없음. ER+ 환자에서도 차이 없음
95
Micronutrient 부족시
Cu : osteoporosis, pancytopenia, depigmentation Fe : 빈혈, 구순염, 설염, 탈모 등 Se : 성장지연, 근육통, 근육약화, myopathy -\> 항염증 효과 위해 보충 Zinc : 탈모, 피부염, 성장지연, 성 성숙지연 -\> 환자의 wound healing 위해 보충
96
활동인자 손상인자
누워있음 1.2 / 보행 1.3 소수술 1.1 / 대수술 1.2 경증감염 1.2 / 중증감염 1.4 골절외상 1.3 / 복합외상 1.4 체표면적 40% 화상 1.5 / 체표면적 100% 화상 2.0
97
손상 시 반응
proteolysis -\> AA, alanine, lactate를 liver로 lipolysis -\> FA를 liver로 liver에서는 glycolysis glycogenolysis, gluconeogenesis -\> glucose를 높임 -\> 근육으로 urea 생성 -\> 신장으로 가서 배출 (nitrogen wasting) ketone 생성 -\> brain/heart로
98
포도당신합성의 전구체
아미노산(알라닌/글루타민), 글리세롤, 락틱산
99
단기금식 장기금식
**단기금식** 포도당신합성위해 단백질 파괴 多 -\> 뇨중 질소분비량 증가 **장기금식** 단백분해작용 억제, 지방분해를 통해 생성된 케톤체 사용 간/신장에서 아미노산 탈아민화 증가, 신장에서 암모늄 이온배출 증가
100
손상 후 대사
**지방 대사** 지방분해를 일으키는 자극으로 catecholamine, ACTH, Thyroid hormone, cortisol, glucagon, GH 분비 증가 ; insulin 분비 감소 **단백질 대사** insulin 분비 감소, cortisol 분비 증가 **탄수화물 대사** 인슐린 저항 초래, 말초 당내성을 상태를 유발 \> 포도당신합성 증가
101
Hypernatremia 시에 수분 부족량 공식
0.6x체중x[(혈중Na+/140)-1] Ex) 60kg 남자 Na+ 160 0.6x60x[(160/140)-1] =36x(0.14) =5.04
102
Hyponatremia시에 Na+ 부족량 구하는 식?
0.6x체중x([Na]goal - [Na]plasma)
103
화상면적 구하기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