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Flashcards
烏飛梨落 (오비이락):
A pear drops as (soon as) a crow flies from the tree.; One inadvertently gets suspected by others.
街談巷說 (가담항설):
길거리나 마을에 떠도는 이야기로서 근거 없이 나도는 말들을 뜻한다.《유》道聽塗說(도청도설)
家家戶戶(가가호호):
집집마다 every [each] house; all the houses
苛獵誅求(가렵주구):
강제로 재물을 빼앗음
刻骨難忘(각골난망):
은덕을 입은 고마운 마음이 마음깊이 새겨져 잊혀지지
刻舟求劍(각주구검):
어리석고 융통성이 없음
甘言利說(감언이설):
남의 비위에 맞게 달콤한말로 꾀는말.
甘呑苦吐(감탄고토):
신의를 지키지않고 자기 마음에 맞으면 갖고 싫으면 버림.
甲男乙女(갑남을녀):
보통사람들.
甲論乙駁(갑론을박):
여러 사람이 서로 자기의 의견을 내세워 남의 의견을 반박함으로써 서로 논박함을 말한다.
江湖煙波(강호연파):
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잔물결로 아름다운 자연의 풍경을 의미한다.
改過遷善(개과천선):
허물을 고쳐 착하게 됨을 일컫는다.
蓋世之才(개세지재):
세상을 마음대로 다스릴만한 뛰어난 재주를 말한다.
去頭截尾(거두절미):
군더더기 말은 빼고 요점만 말함을 가리킨다.
* 截: 끊을 절
《유》單刀直入(단도직입)
居安思危(거안사위):
편안할 때일수록 위험할 때를 대비함을 뜻한다.
《유》居安如危(거안여위) 《유》有備無患(유비무환)
擧案齊眉(거안제미):
밥상을 눈높이로 받들어 올림을 뜻하는데, 아내가 남편을 극진히 공경함을 가리킨다.
乾坤一擲(건곤일척):
천지를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을 말한다.
* 擲: 던질 척
《유》一擲乾坤(일척건곤)
乞骸骨(걸해골):
벼슬을 하는 동안 썼던 머리를 돌려받음을 말한다.
* 骸: 뼈 해
格物致知(격물치지):
사물을 철저히 연구하여 그 이치를 잘 알게 됨을 뜻한다.
隔世之感(격세지감):
세상이 많이 바뀌어서 딴 세상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말한다.
《유》今昔之感(금석지감)
隔靴搔癢(격화소양):
신발을 신은 채 가려운 발바닥을 긁음과 같이 일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함을 뜻한다.
* 搔: 긁을 소 * 癢: 가려울 양 시사자
《유》隔靴爬癢(격화파양)
* 爬: 긁을 파
隔靴搔癢(격화소양):
신발을 신은 채 가려운 발바닥을 긁음과 같이 일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함을 뜻한다.
* 搔: 긁을 소 * 癢: 가려울 양 시사자
《유》隔靴爬癢(격화파양)
* 爬: 긁을 파
牽强附會(견강부회):
말을 억지로 끌어다가 이치에 맞추려 한다는 말이다.
《유》我田引水(아전인수) 《유》自己合理化(자기합리화)
見利思義(견리사의):
눈앞에 이익이 보일 때 의리를 생각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