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마케팅 중간정리 Flashcards

1
Q

사람들이 필요한 정보를 충족하는 데 사용되는 아주 짧은 시간

A

마이크로 모먼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절한 시간, 가격 및 장소를 통해서 고객과 상호작용하여 소통하고 촉진하는 일련의 과정

A

디지털 마케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데이터를 활용해서 검증가능하고, 추적가능하고, 확장가능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

A

그로스해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성과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해당 성과 달성을 위해 업무를 진행하고 개선해나가는 마케팅 전략

A

퍼포먼스 마케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전체 시장에서 특정 기업의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평가하는 것

A

시장 점유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소비자의 총지출 규모에서 특정 제품에 소비된 비용을 나타냄

A

지갑 점유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하루 24시간으로 정해져 있는 개개인의 시간을 특정 미디어가 얼마나 많이 차지하는가를 측정하는 것

A

시간 점유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인지에서 약간이라도 관심이 생긴 제품에 대해 고려하는 단계

A

고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_____발전으로 고려 단계에 머물러 있는 유저를 비교적 정확히 솎아낼 수 있음

A

추적 기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소통 과정에서 통제력을 가지며, 송신자와 수진자가 실시간으로 서로 역할을 교환할 수 있
도록 함

A

상호작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상호작용은 _____의 선행요인이다.

A

텔레프레젠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A

개인정보 (“Identifiabl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파편화된 검색량을 통해 트렌드 확인

A

검색키워드 (“Unidentifiabl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검색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이에 맞춰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 페이지가 검색 결
과 페이지에 잘 노출되도록 웹페이지의 태그와 링크 구조를 개선하여 자연 유입 트래픽을
늘리는 시책

A

검색엔진최적화(SE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질문에 대한 답을 요청하는 것/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하는 것/고객이 정보를 찾
기 위해 검색을 요청하는 행위

A

검색쿼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검색쿼리와 콘텐츠의 거래소

A

검색 결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웹 크롤러가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복사하여 검색엔진으로 가져옴

A

크롤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가져온 콘텐츠를 주제별로 색인하여 보관함

A

인덱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검색 의도에 맞춰 색인된 콘텐츠에 순위를 부여한 후 결과를 제공함

A

랭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기술적인 요건을 만족하기 위한 작업

A

테크니컬 SE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키워드 리서치를 통해 콘텐츠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작업

A

콘텐츠(온페이지) SE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사이트의 신뢰성을 높여 검색 엔진에서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

A

오프페이지 SE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사용자가 어떤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반응과 행동들
과 같은 경험을 총체적으로 설계하는 것.

A

사용자 경험 (U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사용자가 디지털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모든 것

A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기업이 주도적으로 메시지를 생산하고 배포하는 1차 정보 채널

A

Create 채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전통적 마케팅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디지털 마케팅의 특징적인 메시지 배포 통로

A

Share 채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구글 애즈 등 거의 모든 디지털 채널에 존재하는 광고 상품

A

Push 채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Create 채널은 ___media를 보유한다.

A

owne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Share 채널은 ___media를 보유한다.

A

earne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Push 채널은 ___media를 보유한다.

A

pai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돈 받고 주관적 경험 공유

A

Shared Medi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돈 안 받고 주관적 경험 공유

A

Earned Medi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아는 고객”과의 의사소통 채널

A

Communication 채널

34
Q

채널의 관리 권한을 소프트웨어에 위임해 운영하는 것

A

Automation 채널

35
Q

잠재 고객을 자사로 ‘유입’시켜 최종적으로 ‘결제’하도록 만드는 모델

A

퍼널 프로세스

36
Q

브랜드 태도 형성하는데 개인의 결정처럼 보여도 사회적 결정인 경우 다수 발생

A

5A (브랜드 옹호)

37
Q

기업이 브랜드를 인지하고 있는 고객을 브랜드 구매 행동으로 얼마나 잘 전환시키는지 평가

A

구매행동율(PAR)

38
Q

기업이 브랜드를 인지하고 있는 고객을 충성스러운 옹호자로 얼마나 잘 전환시키는지 평가함

A

브랜드옹호율(BAR)

39
Q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이미지를 통합하여 다양한 채널에서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

A

통합마케팅(IMC)

40
Q

정보기술의 발달이 보다 넓은 틈새 시장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 틈새시장에서 나오는 수익이 모이면 주요 상품 판매액과 맞먹는다는 것

A

롱테일효과

41
Q

전략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광고를 노출시켜 비용은 낮추고 광고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주요한 목적

A

AD Tech

42
Q

DSP와 DMP 연결해 자동으로 거래가 쉽도록 도와주는 플랫폼

A

AD Exchange

43
Q

사람이 아닌 프로그램이 기계적으로 광고 슬롯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

A

프로그래매틱 광고

44
Q

자동화 마케팅 기법 중 하나.

A

타겟 마케팅

45
Q

나이, 성별, 행동 관심사 등을 조합해서 특정 오디언스 세그먼트 구성

A

Audience Targeting

46
Q

유저가 지금 보고있는 웹페이지의 컨텐츠와 관련성 있는 광고 노출

A

Contextual Targeting

47
Q

유저의 이전 웹브라우징 행동이나 주요 관심사와 연관된 광고 노출

A

Behavioral Targeting

48
Q

광고주의 웹사이트를 방문한 적 있는 유저에게 해당 광고주의 광고 노출

A

Retargeting

49
Q

몇 개의 세분시장 표적으로 삼게 되며, 각 세분시장마다 별도의 상품 제공

A

차별적 마케팅

50
Q

대규모 시장에서 낮은 점유율을 추구하는 대신에 몇 개의 소규모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추구하는 것

A

집중화 마케팅

51
Q

시장을 세분화한 후에 든 세분시장에 진출하지 않고 일부의 세분시장만을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여 집중하는 마케팅

A

표적 마케팅

52
Q

캠페인 세부 사항을 재조정하는 방식으로 ___이 주로 활용된다.

A

린 스타트업

53
Q

우리가 생산한 제품/서비스를 사용할 가장 이상적인 고객의 모습을 가상 인물로 설정

A

고객 페르소나

54
Q

고객과 기업이 만나는 접점의 총합

A

고객여정지도

55
Q

외부 탐색을 통해 새롭게 추가되는 브랜드와 환기 브랜드

A

고려 브랜드군

56
Q

고객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 가진 핵심 가치

A

메시지

57
Q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가 필요로 하는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조합

A

가치 제안

58
Q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2번째 블록에 해당하는 가치 제안을 상세하게 작성하기 위한 도구

A

가치제안캔버스

59
Q

검색, 광고, 링크 공유 등을 통해 Create 채널에 접속하는 유저가 맨 처음 보게 되는 웹페이지

A

랜딩페이지

60
Q

빠른 시간 내에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비즈니스 모델 수준으로 정리하는 데 있어 탁월한 도구이며, 여러 사람과의 합의를 이루는데 유용한 프레임워크

A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61
Q

제품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 판매량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A

가격탄력성

62
Q

소비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가격 범위

A

준거가격

63
Q

오랫동안 같은 가격으로 시장을 지배할 때

A

관습가격

64
Q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해소하는 제품에 대한 가격

A

체면가격

65
Q

기업이 표적 고객으로부터 원하는 반응을 얻기 위해 의도된 설득 메시지

A

촉진

66
Q

일정 기간 동안 명확한 광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장과 소비자 및 제품에 대한 종합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하는 것

A

광고 기획

67
Q

신제품 알림, 제품 기능 설명

A

정보 전달적 광고

68
Q

상표 선호 구축, 자사상표로 상표 전환 유도

A

설득적 광고

69
Q

제품 기억할 수 있게함, 반복적으로 상표 언급, 기억되기 쉬운 멜로디 사용

A

상기 광고

70
Q

광고회사에서 책임 의식을 갖고 독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관리

A

어카운트

71
Q

광고주와 공고회사 간의 독창적인 관계 관리 기획

A

어카운트 플래닝

72
Q

브랜드 소속 마케팅 전반에 대한 관리/감독

A

광고주

73
Q

마케팅 전문성 갖춤 전술

A

대행사(에이전시)

74
Q

매체 전략/전술을 미디어에 적용

A

미디어랩

75
Q

매체 자체를 소유 및 운영

A

매체사

76
Q

현재 광고 상품을 사용하고 있거나 앞으로 사용하기를 기대하는 핵심 소비자로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대상

A

목표 수용자

77
Q

여러 매체에서 우리의 브랜드가 일관성 있게 보여질 수 있도록 전략 수립

A

미디어 전략

78
Q

광고나 다른 형태의 마케팅 목적으로 텍스트를 작성하는 행위 또는 직업

A

카피라이팅

79
Q

카피 창작에 앞서 카피라이터가 자신이 맡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카피를 어떻게 쓸 것인지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청사진

A

카피 폴리시

80
Q

소비자를 설득할 수 있는 단어를 빠짐없이 일목요연하게 적어 놓은 표

A

카피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