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Flashcards

1
Q

밑줄 친 ‘이 도서’는 무엇인가?

1970년대에 박병선 박사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이 도서의 일부를 발견
한 이후 대한민국 정부와 민간 단체는 지속적으로 이 도서의 반환을 요구
하였다. 그 결과 약탈당한 지 145년만인 2011년에 임대 형식으로 우리나라
에 돌아오게 되었다.
밑줄 친 ‘이 도서’는 무엇인가?

1 동의보감
2 직지심체요절
3 외규장각 의궤
4 훈민정음 해례본

A
  1. 위규장각 의궤

【해설】병인양요 당시 프랑스는 강화도의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하였다. 지속적인 반환 노력의 결과, 2011년부터 5년마다 임
대를 갱신하는 형식으로 우리나라에 돌아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밑줄 친 ‘이 조약’의 명칭을 쓰시오.

운요호 사건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요구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박규수와 신헌 등의 의견을 들어 조선은 이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의 내용으로 일본의 해안 측량권 인정, 일본의 영사 재판권 인정 등이 있다.

A

강화도 조약 (또는) 조·일 수호 조규

【해설】밑줄 친 ‘이 조약’은 운요호 사건의 결과 1876년 체결된 강화도 조약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밑줄 친 ‘사절단’의 명칭을 쓰시오.

조선에 미국 공사가 부임한 것에 대한 답례로 민영익을 전권대신으로, 홍영식을 전권부대신으로 하는 사절단이 파견되었다. 여기에는 서광범, 유길준 등 개화파 인사들도 포함되었다.

A

보빙사 (또는) 보빙 사절단

【해설】영국과 달리 미국은 조선에 공사를 파견하였고, 조선은 이에 대한 답례로 보빙사(보빙 사절단)을 1883년 미국에 파
견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880년에 고종은 개화 정책을 담당하는 원수부를 설치하고, 그 밑에 12사를 두어 사무를 분담하게 하였다. 맞으면 O, 틀리면 X를 쓰세요.

A

X

【해설】1880년 고종은 원수부가 아니라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원수부는 광무개혁 시기에 설치된 기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조선 정부는 근대 시설을 마련하면서 인쇄·출판 업무를 담당하는 박문국을 설치하여 한성순보를 발행하였다. 맞으면 O, 틀리면 X를 쓰세요.

A

O

【해설】박문국은 1883년(고종 20) 8월 인쇄·출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관으로 한성순보를 발행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다음에서 설명하는 운동을 쓰시오.

  • 개항 전후 보수적인 유생층이 주도하였다. * 개항불가론, 왜양일체론, 개화반대론으로 이어졌다.
  • ‘바른 것을 지키고, 사악한 것을 배척한다’는 의미로, 성리학적인 질서를 지
    키고 그 외의 서양세력을 배척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A

위정척사 운동 또는 척사위정 운동

【해설】자료에서 설명하는 것은 위정척사 운동이다. 위정척사 운동은 1890년대 의병 활동으로 연결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개항 이후 새롭게 창설된 별기군에 비해 구식 군인들은 열악한 대우를 받았다. 오랫동안 급료를 받지 못하던 중 13개월 만에 급
료로 지급된 쌀에는 겨와 모래가 섞여 있었다. 이를 계기로 불만이 폭발한 구식 군인들이 봉기한 사건을 쓰시오.

A

임오군란

【해설】별기군에 비해 열악한 대우를 받던 구식 군인이 1882년에 임오군란을 일으켰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의 영사 재판권을 인정하였다.
2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명시하였다.
3 청이 갑신정변을 진압한 이후에 체결하였다.
4 청 상인의 조선 상권 침탈이 심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A
  1. 청이 갑신정변을 진압한 이후에 체결하였다.

【해설】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은 1882년 임오군란이 진압된 이후에 체결되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다음과 같은 정강을 발표한 근대적 개혁 운동으로 옳은 것은?
1. 대원군을 가까운 시일 안에 돌아오게 하고, 청에 조공하는 허례를 폐지할 것.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하고, 능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할 것.
12. 국가 재정은 호조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모든 재무 관청은 폐지할 것.
13. 대신과 참찬은 합문 안의 의정소에서 매일 회의하여 정사를 결정할 것.

1 광무개혁
2 갑오개혁
3 갑신정변
4 동학 농민 운동

A
  1. 갑신정변

【해설】자료는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가 발표한 개혁 정강이다. 김옥균, 박영효 등은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갑신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잡은 후 개혁안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다음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갑신정변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다툼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조선 주재 독일 외교관 부들러는 조선이 취해야 할 외교 전략으로 ( )을/를 제안하였다.

1 중립화론
2 중체서용론
3 위임통치론
4 동도서기론

A
  1. 중립화론

【해설】갑신정변 이후 조선 주재 독일 부영사 부들러는 조선 중립화안을 건의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빈칸에 들어갈 인물을 쓰시오.

1884년 ( )을/를 비롯한 급진 개화파는 정변을 일으켰으나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
패하였다. 정변 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한 ( )은/는 정변을 일으키게 된 동기, 사건의 전
말, 참여 인물 등 정변에 대해 회고한 『갑신일록』을 저술하였다.

A

김옥균

【해설】김옥균은 갑신정변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일본으로 망명하였으며 갑신정변을 회고한 『갑
신일록』을 저술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